현공풍수

일반적으로 풍수는 형세풍수와 이기풍수로 나누고 있는데 형세(形勢)는 말하자면 눈에 보이는 형체로 음양택을 판단하는 것이고 이기(理氣)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 無形)의 기운으로 판별하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풍수이론이 형세풍수이며 이는 이론이 체계적이나 이기풍수는 학설이 분분하고 때로는 용어조차 통일성이 없으며 정밀하지 못한 나경을 사용하는 술법적인 경향이 강한 이론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기풍수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은 형세풍수가 體라면 이기풍수는 用이 되니 체용(體用)을 모두 활용해야 비로소 완전해지기 때문입니다.
현공풍수는 오랜 세월을 비전으로 내려 왔기에 더욱 신비화 내지 술법화되었으나 이제는 자리를 잡아서 현재 중국을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거의 이기풍수라면 삼합풍수보다는 당연히 현공풍수가 대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는 사주명리에서 타고난 팔자가 훌륭하여도 운의 흐름에 따라 길흉화복의 시기가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하듯 이와 마찬가지로 시간의 개념을 도입하여 비록 천하의 명당이라도 발복의 시기가 있으며 또한 방위를 중요시 하여 아무리 터가 좋아도 방위가 옳지 못하면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명당이면 무조건 때를 기다리지 않고 명당의 터에 걸맞게 연속적으로 발복한다는 용혈사수( 龍穴砂水)를 중요시 하는 전통적인 형세풍수이론과는 사뭇 다른 이론체계입니다.

※ 분야
음택- 묘지감정, 묘지이장 등
양택- 가옥, 상가터의 길흉 및 실내 공간의 배치 등

※ 감정방법
전통적인 형세풍수와 현공대괘풍수, 현공비성풍수를 활용하여 음양택을 감정하고 또한 개선방법을 제시합니다.

※ 출간서적
지리변정 현공대괘풍수,현공대괘와 현공비성의 양택현공풍수, 형세적 양택풍수, 풍수학 도해 감룡경, 주역통변론, 주역고서고와 고도역단의 주역점례, 古今주역점례(고도역단 속편), 주역점 및 육효점입문 등이 있다.

※ 상담료
전화요망.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