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릇 애성은 《청낭오어》 중에 나오는 다음의 애성구결이 대표적이다. 즉 「坤壬乙은 거문을 쫓아서 나오고 艮丙辛은 자리마다 무릇 파군이며 巽辰亥는 무릇 전부 무곡의 자리이고 甲癸申은 탐랑일로(貪狼一路)로 행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주로 현공비성위주로 애성을 논한 것이며 현공대괘에서 논하는 애성은 九星과 卦運을 합친 것이다. 즉 1, 2, 3, 4, 5, 6, 7, 8, 9운이 괘운에 의거하여 九星의 탐랑、거문、녹존、문곡、염정、무곡、파군、좌보、우필의 순서로 하나씩 차례로 돌아가며 배합하니 고로 이르길 애성(挨星)이라고 한다.
소위 1운 탐랑、2운 거문、3운 녹존、4운 문곡、5운 염정、6운 무곡、7운 파군、8운 좌보、9운 우필 등으로 운수(運數)가 하나씩 차례로 돌아가니 고로 이르길 애성(挨星)라고 하며 현공대괘오행은 또한 애성오행 혹은 현공오행이라고도 한다.
원래 九星은 오행이 없으나 낙서를 배합하여 탐랑은 일백을 배합하고, 거문은 이흑을 배합하며 녹존은 삼벽을 배합하고, 문곡은 사록을 배합하며, 염정은 오황을 배합하고 무곡은 육백을 배합하며, 파군은 칠적을 배합하고 좌보는 팔백을 배합하며, 우필은 구자를 배합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낙서적인 오행이 九星의 오행으로 되는 즉 탐랑, 무곡은 水가 되고 거문, 파군은 火가 되며 녹존, 좌보는 木이 되고 문곡, 우필은 金이 되며 염정은 중앙에 거하며 土가 된다.(참고로 이 구성오행은 현공비성에서 사용하는 구성오행과 개념이 다르다)
이 九星은 반드시 하나의 괘운을 쫓는데 생각건대 순서대로 날아와서 늘어서니 고로 애성이 된다고 칭하며 현공대괘가 사용하는 오행 또한 곧 이 九星을 차례로 배열한 오행이며 명칭은 같지 않으나 다만 실제적으로는 곧 서로 같은 작용을 한다. 혹은 애성을 배룡(排龍)으로 칭하기도 하며 삼반괘를 또한 애성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또 다른 현공대괘에 대한 애성구결은 다음과 같다.
① 坤壬乙의 지풍승、풍지관、수택절괘는 거문을 따라 처음 나 온다.
② 艮丙辛의 지화명이、화천대유、뇌산소과괘는 파군에 속한다.
③ 巽辰亥의 지뢰복、산천대축、택지췌괘는 무곡의 자리이다.
④ 甲癸申의 리위화、풍뢰익、화수미제괘는 탐랑一路로 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