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성회향(雙星會向)
쌍성회향이란 산성적인 비성과 향성적인 비성의 당령한 왕성이 동시에 向상에 비도(飛到)하는 것을 말한다. 만일 후방에 水가 있고 또한 水 이외에 山이 있으면 人丁과 재물이 모두 왕하나 다만 재물이 人丁에 비하여 더욱 왕하다.

【예】 8운의 子山午向

위 비성반에서 산성적인 당령한 왕성8과 향성적인 당령한 왕 성8이 동시에 向首인 리궁에 비도하니 소위 쌍성(雙星)이 向首에서 會合한다고 말하며 이른바 쌍성회향(雙星會向)의 국이 된다.
이는 전면에 水가 있고 또한 水 이외에 山이 있어야 이 국에 합하는데 만일 전면에 山은 있는데 水가 없거나 혹 水는 있으나 山이 없으면 合局의 형세가 아니다. 무릇 8운 중에서 쌍성회향 의 격국은 子山午向、卯山酉向、庚山甲向、壬山丙向、乙山辛向、癸山丁向 등이 있다.

@ 쌍성회좌(雙星會坐)
쌍성회좌란 산성과 향성의 당령한 왕성이 동시에 坐山에 비도 (飛到)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종류의 격국은 山은 왕하되 向이 왕하지 못하는 즉 人丁은 왕하되 재물은 人丁에 비해 왕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는 전면이 평탄하며 후면에는 水가 있으며 水 이외에 또한 山이 있으면 국에 합한다. 소위 이는 현공풍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격국으로 만일 좌산의 방위에 水가 있고 또 水 이외에 山이 있으면 人丁과 재물이 모두 왕하나 다만 人丁이 재물에 비하여 더욱 왕하게 된다.

【예】 8운의 壬山丙向

좌산에 산성적인 당령한 왕성8과 향적인 당령한 왕성 8이 동시에 좌산인 감궁에 비도하니 쌍성회좌(雙星會坐)의 국이 된 다. 무릇 후면에 山이 보이고 더불어 다시 水가 보이면 주로 人丁이 왕하고 재물 또한 왕하나 다만 그 역량은 쌍성회향(雙星會向)에 미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