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에 단전에서 졸화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만일 중맥을 개통하였다면 졸화는 중맥을 통하여 서서히 륜(輪)은 즉 차크라(chakra)라고도 칭하는데 심륜(心輪)과 후륜(喉輪)을 거쳐 정륜(頂輪)으로 올라가게 된다. 일반적으로 뚬모수행의 목적이 단지 자신의 심신적인 건강에 있다면 이 정도에서 만족하며 대락(大樂)과 공성(空性)을 향유하면 된다.
그러나 만일 뚬모수행의 최종 목표가 명상 지도자가 되거나 혹은 더 높은 경지에 이르길 희망하는 것이라면 여기서 더 나아가 보다 강력한 뚬모수행에 돌입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단지 대락과 공성을 느끼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단전에서 불붙은 졸화를 정륜까지 최대한 끌어올려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는 매우 큰 위험이 따르게 될 수가 있다. 나의 경우는 심륜으로 불기둥이 올라가니 숨이 막힐 정도로 가슴이 답답하였다. 당분간 그 상태가 지속되다가 일정한 시일이 지난후 졸화가 후륜을 통과하니 창자가 모두 튀어나올 것 같은 심한 헛구역질이 계속적으로 나온다.
그 단계를 지나서 드디어 정륜으로 졸화가 강력하게 당도하니 무시무시한 현기증과 더불어 죽음의 공포가 엄습한다. 처음에는 무의식 중에 겁이 나서 보병기를 바로 멈추었으나 그 후로는 그냥 버티었다. 잘못되어 봐야 죽기 밖에 더하겠는가?
이건 대락을 수반하는 공성이나 삼매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무의식에 빠져든다. 그러다가 어느 날에는 결가부좌한 상태 그대로 뒤로 자빠져서 일어나려고 발버둥 치는 나 자신을 발견하였다. 뒷통수를 바닥에 그대로 내리 찍었는데도 전혀 넘어진 기억이 없다. 홀로 강도 높은 보병기 수행을 하다가 보면 이러한 각종 기이한 현상을 경험하게 되는데 무리하게 강행하다가는 자칫 큰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뚬모의 보병기 수련은 기공이다. 각종 기공 수련에는 반드시 부작용이 따른다. 그리하여 비록 스승의 지도 하에 기공 수련을 할지라도 중급 이상의 단계로 들어서면 대개 3가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즉 이는 바로 병들거나 혹 미치거나 혹 통하는 것이다. 혹자는 심한 동상으로 손발을 절단해야 할 지경에 이르기도 한다.
스승을 모시고도 이러하니 기공을 홀로 수련하여 남들이 흉내 내지 못하는 높은 경지에 오르고자 하는 것은 더욱 위험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그러나 누구나 금방 따라 할 수 있는 것은 희소가치가 없는 법…. 수행하다가 죽을 각오가 있으면 두려울 것이 없다.